한류 탐색
역사와 이론
조영한 김수아 이규탁 방희경 이성민 지음
152×225mm | 344쪽 | 24,000원 | 2024. 6. 14 | ISBN 979–11–92090–40–5 93300
한류탐색-입체-정사각_배경없음.png
아시아 대중문화에서 글로벌 대중문화로

한류의 역사적 배경과 한국 대중문화의 연계성을 탐색하다
 
한류가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면서 K팝, K드라마, K웹툰, K컬처 등등 한국의 대중문화엔 ‘K’가 언제부터인지 붙기 시작했다. 해외에서 ‘한류’라는 용어가 생기고 한국 사회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지도 30여 년이 되어 간다. 1990년대 말 ‘예상치 못한 성공’으로 시작된 한류는 다양한 변곡점을 거쳐 2020년대에는 글로벌 대중문화가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한류를 향유하는 민족과 인종, 그리고 지역과 대륙이 증가하면서 한류를 둘러싼 새로운 관심사와 이슈가 등장하였다. 한류를 처음 접하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 한류는 각각 다른 첫인상과 기억을 남기게 된다.

한류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류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대폭 증가하고 있다. 한류가 문화적·역사적으로 의미 있고 중요한 이유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전 지구적으로 확장되어서만이 아니라, 그동안 글로벌 대중문화를 독점해 온 서구 대중문화, 좀 더 구체적으로 미국 대중문화의 중심성과 일방향성에 균열을 내었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아시아로 흘러가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유행과 수용 양상이 전 지구적인 반향과 유행을 만들어 내어, 다양한 집단, 민족, 인종을 연결하는 도구가 되었다.

이러한 한류에 대해 깊이 있게 들여다본 책 [한류 탐색: 역사와 이론]이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한류를 들여다보는 다양한 관점 가운데 세 가지에 특히 주목하길 요청한다. 첫째,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 현상이면서도 동시에 국경을 넘어서는 초국가적 문화 현상이다. 그래서 한류는 한국적인 특성과 초국가적인 특성을 시기와 맥락에 따른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한류는 고정된 개념이 아니며 한류를 소비하고 즐기는 실천과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는 문화 현상이다. 한류는 시기와 사회에 따라 다르게 경험될 수밖에 없다. 이는 대중문화의 생산-유통-소비라는 전체 과정에 개입하고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에 의해 만들어지고 전유되는 현상이기에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한류와 대중문화를 국가 간 대결 혹은 위계를 설정하는 수단이 아닌 사람 간, 집단 간, 사회와 국가 간 이해를 높이는 기회로 여기길 권한다.

한류는 한국만을 위한 문화 현상이 아니라 월경越境하는 문화 흐름과 사람의 이동에 관하여 새로운 이슈를 던지고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문화 현상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은 대중문화의 영향력을 국가의 경제나 영토 확장으로 보려는 관점과는 거리를 두며 한류가 매개하는 다양한 이슈를 국내외 맥락에서 조명하고 있다. 또한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한류 현상을 소개하고 이슈를 논의하는 동시에 문화연구의 주요 개념을 서술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대중문화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이론과 개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를 기반으로 한류 현상과 초국적 문화의 흐름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는 관점을 갖게 될 것이다.
 
 
지은이
조영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한국 민족주의와 근대성, 글로벌 스포츠, 아시아 대중문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책으로는 《옐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공저), Global Sports Fandom in South Korea 등이 있다.
 
김수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여성학협동과정 부교수,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연구원으로 미디어와 젠더, 디지털 문화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안전하게 로그아웃》, 《게임콘텐츠와 젠더 재현》, 《한류: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공저) 등이 있다.
 
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부교수로 음악산업, 대중음악사, K팝, 한류 등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문화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케이팝의 시대》, 《갈등하는 케이, 팝》, 《Z를 위한 시: Post-BTS와 케이팝의 미래》 등이 있다.
 
방희경 
성공회대학교 미디어콘텐츠융합학부 조교수로 대중문화와 담론, 한류 등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책으로는 《우리 마음의 국경》(공저), 《통일 커뮤니케이션》(공저), The Candlelight Movement, Democracy, and Communication in Korea (공저), 《모빌리티와 생활세계의 생산》(공저) 등이 있다.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로, 콘텐츠 산업 정책, 글로벌 OTT, 미디어-콘텐츠 산업 변화, 콘텐츠 IP 등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고, 책으로는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저), 《2023 한류백서》(공저),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공저) 등이 있다.
 
 
차례
1부 한류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 한국 대중문화의 출발점
1. 한국 대중문화의 등장과 외세의 영향
2.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3. 한국 대중문화의 시작
4. 미국의 영향 속 한국 대중문화의 형성
5. 미국 대중문화에 대한 동경, 혹은 비판
6. 한국 대중문화의 일부가 된 미국 문화
 
2 한국 대중문화와 동아시아
1. 동아시아 속 한국 대중문화
2. 글로벌과 로컬 사이에서
3. 동아시아 미디어 문화산업의 성장
4. 홍콩 대중문화의 전성시대
5. 일본 대중문화의 확산
6. 홍콩에서 일본, 그리고 한국으로
 
3 한류의 역사
1. 한류 역사 쓰기가 필요한 이유
2. 이론을 이용한 대중문화 역사 쓰기
3. 맥락을 강조한 한류의 시기 나누기
4. 한류 1시기: 동아시아에서 시작한 한류
5. 한류 2시기: 아시아에 정착한 한류
6. 한류 3시기: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7. 한류 4시기: 세계 시장에 자리 잡은 한류
 
2부 한류와 대중문화
 
4 한류의 문을 연 한국 드라마
1. 한류의 시작, 한국 TV 드라마
2. 동아시아에서 한국 드라마가 사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3. 드라마 한류의 역사
4. 드라마 한류의 변화와 새로운 질문들
 
5 한국 영화, 변방에서 중심으로
1. 영화 한류를 어떻게 볼 것인가
2. 영화는 상품인가, 예술인가
3. 영화 한류의 역사적 배경
4.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영화의 변화 –
5. 한국 영화의 해외 시장 진입 –
6. 영화 한류에서 피어오르는 아이러니
 
6 한류의 대표 주자, K팝
1. K팝이란 무엇인가 –
2. 문화와 대중음악의 세계화
3. K팝의 역사
4. K팝 비즈니스 모델: K팝의 핵심
5. 음악이자 문화 스타일인 K팝
6. 한류 대표 주자로서 K팝
7. K팝은 한국적이어야 하는가?: K팝 속 ‘K’의 의미
 
7 디지털 문화를 이끈 웹툰과 게임
1. 웹툰과 게임: 새로운 방식의 한류
2. 디지털 기술을 통한 콘텐츠 만들기
3. 한국이 만든 디지털 만화, 웹툰의 탄생
4. ‘수출 효자 상품’으로 성장한 한국 게임
5. 웹툰의 성장과 발전
6. 게임 산업의 성장과 발전
7. 웹툰과 게임, 한류의 미래
 
8 한국 예능 프로그램, 글로벌 수용자를 껴안다
1. 한류의 일부가 된 한국 예능 프로그램
2. 예능 프로그램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3.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세계화
4. 한국 예능 프로그램 속 동아시아적 정서 구조
5.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자기계발론
 
3부 한류를 둘러싼 이슈
 
9 한류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팬덤
1. K팝 한류 팬덤
2. 팬덤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3. K팝 팬덤의 역사
4. K팝 팬덤의 전 지구적 확장과 국내 반응
5. K팝 한류 팬덤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
6. 한류 팬덤을 통한 사회적 상상의 확장
 
10 젠더로 들여다본 한류
1. 젠더 관점에서 접근하는 한류
2. 젠더란 무엇인가
3. 젠더 관점을 통해 본 한류의 수용
4. 한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젠더 정체성
5. 한류와 젠더 관점의 현재, 그리고 미래
 
11 한류 속 정부와 국가주의
1. 한류에 왜 국가는 늘 유령처럼 등장하는가
2. 국가주의란 무엇인가
3. 미디어가 그려 낸 한류 담론
4. 한류를 만든 것은 한국 정부인가
5. 한류에서 K컬처로
6. 한류에 대한 거부감: 반한류와 문화 분쟁
 
12 한류와 인종주의
1. 한국 문화산업의 확장과 인종 문제
2. 인종주의
3. 한류 속 인종주의
4. 문화 다양성의 중요성
 
13 한류와 테크놀로지
1. 한류와 테크놀로지의 연관성
2. 테크놀로지와 대중문화
3. 한류와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4. 한류 팬덤과 테크놀로지
5. 기술낙관론을 넘어서 바라본 한류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