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학순 현혜연 신혜선 민지은 지음
‌152×225mm | 372쪽 | 28,000원 | 2019. 12. 30  | ISBN 979–11–85521–73–2 93600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자원과 어떻게 협력 관계를 맺을까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이 기획 및 관리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가용 자원과 관계 기관의 협력이 중요하다. 그런데 실천 현장에서 자원과 협력 관계는 무엇이고, 이를 위한 기획 관리자의 역량은 무엇일까. 이 책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들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상황에서 실천적으로 자원과 협력 관계 활동과 역량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자원을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 번째는 각 지역에 있는 문화예술회관, 문화의집 등의 공간 자원, 둘째는 문화예술교육을 맡고 있는 예술가나 기획자 등의 인적 자원, 셋째는 정부 지원 및 민간 후원 등의 재정 자원으로 나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국내외 실천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 사례들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실행 원칙을 제시한다. 이러한 자원들을 활용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성공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이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들에게 훌륭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

지은이
임학순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로, 문화 정책, 예술 경영, 콘텐츠 산업, 문화예술교육, 문화유산 활용 등을 연구하고 있다. 문화비즈니스연구소장과 문화예술교육지원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일한 바 있고,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를 맡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창의적 문화사회와 문화정책》, 《문화예술교육사업과 파트너십》 등이 있다.
현혜연
중부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사진영상전공 교수로, 문화예술교육원장을 맡아 문화예술교육 및 인력 양성 사업을 기획·연구하고 있다. 1997년 캠프형 어린이 사진 교육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시작하였고, 지역민과 함께하는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주말 예술 캠퍼스 사업, 예술 치유 프로그램 등을 통해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다. (사)한국사진교육학회 부회장이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사진,’ ‘신중년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혜선
WECULTURE research and consulting 대표이자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문화행정전공 초빙대우교수로, 국제 문화 교류, 문화 정책, 예술 경영, 문화예술교육 등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문화정책·예술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있었다.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 문화정책논총 >, < 예술경영연구 > 등에 논문이 실렸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Post-9/11 International Artist Exchang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Middle East,” “사회적 신뢰형성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공연예술단체의 활동 분석” 등이 있다.
민지은
프랑스 파리3대학 소르본누벨대학교에서 문화 매개 전공,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다양한 문화적 이슈들을 문화 매개와 문화예술 마케팅 측면에서 연구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하고 성균관대학교 문화융합대학원 겸임교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이사를 맡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La réception de la comédie musicale de langue française en Coree(한국에서의 프랑스 뮤지컬 수용)와 《문화매개》가 있다.

차례
1장 지역, 자원, 협력
1부 자원 분석 및 활용 전략
‌2장 지역 사회 분석 및 자원 지도 작성법
3장 인적 자원 발굴 및 활용 방법
4장 역사 문화 자원의 발굴 및 활용
5장 공간 자원의 발굴 및 활용
6장 융합 기반 지식 정보 자원
7장 재정 자원 조성 방법
2부 협력 관계 구축 및 리더십
8장 협력 관계 구축
9장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학교와 지역 사회의 협력 관계
10장 문화 기반 시설과 문화예술교육의 협력 관계
11장 사회복지 시설과 문화예술교육의 협력 관계
12장 교정 시설 등 특수 시설과 문화예술교육의 협력 관계
13장 주민 조직과 협력 관계
14장 협력 관계 리더십
15장 새로운 자원 및 협력 관계 기획서 개발